현재위치
- 홈
- 홍보관
- AI제조데이터 전략위원회
AI제조데이터 전략위원회
AI. 제조데이터 전략위원회는 중소벤처기업부를 중심으로 AI. 제조데이터 활성화를 위해
관련 분야 전문가, 기업인, 유관기관 등 민.관의 각계분야 전문가로 구성되었으며,
다음의 사항을 중점적으로 논의.확정합니다.
- 01AI·제조데이터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정책 심의 및 의결
- 02새로운 산업 창출에 따른 창조적 파괴를 지원할 수 있는 추진과제 도출
-
03 데이터 관점 중기부 사업 개편을 통한 통합지원* 방안 수립 * 데이터 관점 전주기(인력양성→창업→R&D→사업화(보급)) 통합 지원
-
04 분과위원회* 수행 과제 선정, 보고서 발간 승인 등 안건 검토 등 * 정책·거버넌스 분과, 데이터·제도 분과, 인프라 분과, 서비스 분과
- 05스마트제조혁신 분야별 추진정책(안) 권고 및 국제협력 지원
전략위원회 조직도
전략위원회
정책·거버넌스 분과
- 제조 AI 활용 관련 정책방향 설정
데이터·제도 분과
- 데이터 유통, 거래, 활용 촉진을 위한 제도기반 마련
스마트인적자원 분과
- 스마트제조분야 교육 및 인력양성 정책방향 설정
서비스 분과
- 제조 AI 활용 특화 서비스 및 신규 비즈니스 모델 발굴
안녕하십니까.
AI·제조데이터 전략위원회 위원장
차정훈입니다.
대학
-
김문겸 숭실대학교 교수
- 이력
- 現 중소기업대학원장
- 現 한국스마트팩토리 데이터 협회 회장
- 前 중소기업옴부즈만(차관급)
-
이용관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교수
- 이력
- 現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교수
- 前 삼성전기 설비진단기술 및 설비효율화 그룹장
- 前 과학기술홍보대사(‘07~‘10)
-
한근희 고려대학교 교수
- 이력
- 現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교수
-
홍승호 한양대학교 교수
- 이력
- 現 IEC Smart Manufacturing 국가위원장
- 現 IEC TC65 국가위원장
- 現 국가기술표준원 스마트표준기술연구회 회장
연구기관
-
이성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장
- 이력
- 現 한국전자통신연구원(ETRI) 지능정보융합연구실장
- 前 삼성전자 디지털미디어 연구소(’02~’04)
-
이성호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소장
- 이력
- 現 창의엔지니어링센터 소장
- 現 다부처 스마트공장 R&D 예타 기획위원장
- 前 마이크로나노시스템학회장(‘18)
-
이동주 중소벤처기업연구원 부원장
- 이력
- 現 중소벤처기업연구원 부원장
- 現 동반성장위원회 실무위원
제조 AI
-
이상호 임픽스 대표
- 이력
- 現 스마트공장 솔루션 공급기업
(예측정비, 에너지최적화) 대표 - 現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
-
김미영 포스코ICT 상무
- 이력
- 포스코 스마트팩토리 플랫폼 (PosFrame) 개발
-
오경진 ㈜태림산업 부사장
- 이력
- 現 태림산업 부사장
- 前 신성델타테크 연구원
-
한아람 에이비에이치 대표
- 이력
- 現 에이비에이치 대표
- 現 울산광역시 4차산업혁명 U포럼 위원
- AI 실증사업 참여
유관기관
-
박한구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단장
- 이력
- 現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단장
- 前 한국인더스트리4.0협회회장
- 前 포스코 ICT 상무
- 前 포스코 상무보
-
박원재 한국정보화진흥원 본부장
- 이력
- 現 한국정보화진흥원 정책본부 본부장
- 現 기획재정부 혁신성장 자문위원
- 前 한국정보화진흥원 정책연구팀장, 국제협력팀장
분과 위원장
-
김흥남 한국과학기술원 본부장
- 이력
- 現 K-Industry 4.0 추진본부본부장
- 前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
-
조현보 포항공과대학교 교수
- 이력
- 現 산업경영공학과 교수
-
신민수 한양대학교 교수
- 이력
- 現 경영학부 교수
- 前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
-
임성훈 울산과학기술원 교수
- 이력
- 現 울산과학기술원 산업공학과 교수
- 前 ‘20년도 KAMP AI 데이터셋 개발 유니스트 연구책임자
~2021
-
2021.06.24
- AI 제조플랫폼(KAMP) 하반기 추진계획
- 스마트공장 솔루션 구독형 서비스모델
-
2021.05.27
- 스마트화 지수 개편 추진계획
- AI 솔루션 실증지원 우수사례 소개
-
2021.04.29
- 스마트제조분야 인적자원 저변확대를 위한 제도 제언
- SIRI (Smart Industry Readiness Index) 소개 및 국내 적용여부 검토
- 타 부처 빅데이터 경진대회 추진현황 및 정책 시사점 제언
-
2021.03.26
- 데이터웨어하우스 기술 활용방안
- AI 제조플랫폼(KAMP) 클라우드 보안을 위한 고려사항
-
2021.02.25
- 마이제조데이터 플랫폼 구축을 위한 입법정책 연구
- 스마트 제조혁신을 위한 표준의 역할
-
2021.01.27
- ‘21년도 제조혁신 주요사업 및 분과위원회 소개
- AI 제조플랫폼(KAMP) 소개
-
2020.11.26
- 제조데이터 정의·범위 및 활성화 방안 발표
- 국제표준 기반의 클라우드 데이터 수집·저장 체계
-
2020.10.29
- 제조데이터공유규범 제정안
- * 기업이 실제현장에서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·관리하고 거래하는데 필요한 기본원칙과 규정
-
2020.09.24
- 데이터인프라 구축사업 운영계획 발표
- Data Translator 인력양성 프로그램 정책제언
- * Data Translator : 제조데이터분석을 위해 제조분야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데이터분석전문가와 현장근로자와의 의사소통을 보조하는 전문인력
-
2020.07.30
- AI 데이터기반 중소기업 제조혁신 고도화전략 세부 추진방향 발표
- 데이터인프라구축사업 기본 추진계획
- 국내외 제조플랫폼 비교분석 및 포스코 제조플랫폼 ‘PosFrame’ 소개
-
2020.06.25
- 데이터기반 제조혁신 생태계 구축 관련 정책입안 토의
-
2020.06.11
- 분과 연구과제 결과보고 및 관련내용 토의
-
2020.05.28
- 제조업 AI 확산 로드맵 수립방안 토의
-
2020.04.23
- 제조데이터 실사례 분석을 통한 현장 수요에 기반한 인프라 구축방안 제시
- GAIA-X 프로젝트 참여에 대한 타당성 검토(2)
-
2020.03.26
- 제조데이터 관리 가이드라인
-
2020.02.28
- GAIA-X *프로젝트 참여에 대한 타당성 검토
-
2020.01.30
- 분과 추진 연구과제 선정
- - (정책거버넌스) 클라우드 기반의 중소 제조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현장 데이터 수집 기준안
- - (데이터제도) 제조 데이터 거래를 위한 제도적 요인과 필요 데이터의 범위에 대한 연구
- - (인프라) AI 제조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위한 제조 데이터의 특성 분석
- - (서비스) AI 데이터 활용 제조혁신 사례 데이터베이스 확보
-
2019.12.26
- 데이터센터 구축‧운영 계획
- 인공지능‧데이터 활용 활성화 방안
-
2019.11.27
- 분과위원회별 추진 프로젝트
- - 정책거버넌스, 데이터제도, 인프라, 서비스
-
2019.11.07
- AI 제조데이터 정책 추진 현황 및 주요 현안
- AI 제조데이터 전략위원회 운영계획
-
김흥남 분과위원장 - 한국과학기술원 K-Industry4.0 본부장 주요 논의과제 - 제조데이터 성장협력 생태계 활성화
주요 논의내용
- AI를 활용한 제조기업의 Use-Case 발굴을 위한 정책 기획
- AI·제조데이터 관련 공급기업 Alliance 추진 전략 수립
- AI·제조데이터 경진대회 추진을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 논의
- 제조데이터와 타 산업간 융합 생태계 조성 방안
-
신민수 분과위원장 - 한양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주요 논의과제 - 마이제조데이터 활성화를 위한 제조데이터 거래체계 및 제도 마련
주요 논의내용
- 제조데이터 품질관리 체계 및 품질지표 마련 추진
- 제조데이터 생성·제공 기업을 위한 인센티브 구조 연구
- 제조혁신 법률안 적용을 위한 유통거래 체계 및 입법사항 추진
- 제조데이터 거래 활성화를 위한 가치평가 체계 논의
-
조현보 분과위원장 - 포항공과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교수 주요 논의과제 - 제조데이터 성장협력 생태계 활성화
주요 논의내용
- 데이터 분석 기반의 업무처리를 위한 기업문화 조성 방안
- 중소기업 재직자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인프라 구축방안 논의
-
임성훈 분과위원장 - 울산과학기술원 산업공학과 교수 주요 논의과제 - AI 기반 제조혁신 서비스 및 신규 비즈니스모델 발굴
주요 논의내용
- 제조기업 문제정의를 위한 규격화된 문제진단 프레임 마련
- AI 제조플랫폼 활성화를 위한 신규 서비스 지원방향 논의
- 공급기업 해외진출을 위한 지원방향 논의